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자율주행차의 윤리학 볼께요
    카테고리 없음 2020. 2. 24. 07:09

    >


    >


    주행 중 브레이크가 동네 자율주행차를 상상해보자. 너로 달릴 경우 보행자 5명을 치게 되고 핸들을 꺾으면 보행자 첫 사람을 치게 된다. 이 경우 자율주행차는 어떤 프로그램을 가져야 할까. 당연히 핸들을 꺾는 판단을 하는 프로그램이 많은 공감을 얻을 것이다. 그런데 핸들을 꺾어서 다치는 사람이 보행자가 아니라 자동차 탑승자라면? 자율주행차는 보행자와 탑승자 사이에 어디를 지켜야 할까.  이 질문은 20첫 6년 6월 과학 학술지'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에서 등장했다. 자율주행의 사회적 딜레마라는 제목의 이 논문은 사람들에게 위와 같은 질문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이 설문 조사에서 대다수의 사람들(78%)이 다수 보행자를 보호하기가 점점 더 윤리적이라고 답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 후의 질문이다.  그렇다면 차 탑승자보다 보행자 안전을 우선하는 자율주행차를 구입하겠습니까?라고 깨달았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그런 차를 사지 않겠다고 답했다. 이성적인 판단으로는 대다수 보행자가 우선이지만, 그 자동차 탑승자가 자신이거나 가족일 경우에는 반드시 딜레마에 빠진다.  그렇다면 자동차 업체의 판단은 어떨까. 얼마 전 메르세데스벤츠의 한 고위 이다원은 보행자보다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우선한다는 발언을 했다가 언론의 뭇매를 맞았다. 제조사에겐 당연한 결론이지만 그런 발언은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당시 영국 신문 '데 철리메 철리'에서도 이런 기사를 내보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자율주행차가 방향을 바꿔 탑승자가 다칠 위험을 느끼기보다는 아이를 친다고 인정했다.  심각한 것은 비판은 있지만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독일 연방교통부는 문재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율주행차가 어떤 선택을 해야 옳은지 결정할 수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심증은 분명해 보인다. 자율주행차의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MIT의 라판 교수가 쓴 스토리가 그 심증을 대변할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을 희생하는 차를 사지 않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런 차를 사달라고 소견할 것이다.아마도 자율주행차는 공리주의를 내세울 것이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주의는 모든 판단에서 계산 가능성을 전제로 할 것이다. 그 계산이란 손해보다 이익이 많은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공리주의는 도덕철학이라기보다는 도덕과학이라고 할 것이다.  윤리적인 판단 물증을 이익과 손해의 관점에서만 해석하면 너희가 쉽다. 자율 주행 자동차뿐 아니라 4차 산업 혁명의 다양한에 나비 무당 기술에 심어야 한다 도덕적 알고리즘을 적용하기에도 용이하다. 모든 사물을 통해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빅 데이터 기술은 이런 공리주의적 판단에 수치화된 물증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행자와 탑승자 중 어느 쪽을 활용하는 것이 이익인지를 판단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중 어느 쪽을 활용하는 것이 이익인지를 판단할 것이다. 어쩌면 아랍인인지 미크인인지 인종을 구분하는 데이터 값이 있을지도 모르고, 유명인과 최초의 시민 중 어느 쪽을 활용하는 것이 이익인지 수치화된 데이터를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20최초 7년 8월 23첫 독쵸쯔은 세계 최초로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윤리 지침을 발표했다. 독쵸쯔 연방 교통성 그리고 첫 4명의 과학자와 법률 전문의로 구성된 '디지털 인프라 그 다소 설탕 윤리 위원회'은 자율 주행 기술이 지켜야 할 20가지 지침을 만들었다.  이 지침에서 주목할 점은 인권에 대해 흔히 있는 지침은 불가능하다는 예이다. 그것은 나이, 성별, 인종, 장애에 대해 우선순위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이야기해서 아이를 살리기 위해 노인을 죽이는 것은 올바른 판단이 될 수 없다. 이런 최초의 가이드라인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공리주의적 판단을 차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트롤리 딜레마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했다는 점이다.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센델이 자주 인용해 널리 알려진 딜레마가 일명 트롤리 딜레마다. 지금까지 트롤리 딜레마는 대학의 정치철학 강의나 시민을 위한 교양서적에서나 볼 수 있는 지적 유희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4차 산업 혁명이 모든 것을 현실로 바꾸어 버렸다. 요즘 우리는 그런 윤리적 딜레마를 프로그래밍해야 할 것이다. 즉석 자율주행차의 등장 때문이다. 결국 방통위가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차후대로다.  차량 시스템은 인간의 결정에 따라야 할 것이다.  인간의 결정을 대신해야 할 자율주행차에 인간의 결정에 따르라고 스토리는 다소 어이없는 결론이긴 하지만, 어쨌든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판단이라는 철학적 난제를 아직 기계로 넘길 수는 없다는 의지 표명처럼 보인다.    손쉽게 계산할 수 있는 점은 공리주의의 가장 큰 장점이다. 수치화된 데이터로 무장한 공리주의는 4차 산업 혁명에 깊이 관여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이익과 손해를 따질 뿐 존재의 가치와 존엄성을 따질 수 없다는 것을 안다. 알고 있지만 자율주행의 알고리즘에 입력할 수 있을 만큼 증명은 하지 않았다. 결국 자율주행차의 딜레마는 기술적인 딜레마가 아니라 철학적 딜레마다.  철학과 하면 마치 첫 9세기와 20세기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고민을 받게 된다. 그만큼 철학이 멀리 있지 않을까. 자율주행, 인공지능, 빅데이터가 확산되는 세상인데 아직도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나 벤그다소리, 칸트, 롤스 같은 고전독서 수준의 철학을 줄인다. 그런 철학자들은 드론이 무엇인지도 모른다.  가장 최 근은 그들이 남긴 철학적 유산을 4차 산업 혁명에 맞추어 고도화시켜야 한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이 인간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해야 하고,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가 인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 인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로봇과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신할 것이 아니라 인간을 풍요롭게 해야 한다.  우리가 철학적 난제를 회피하면서 과연 윤리적 딜레마를 계산하기 쉬운 공리주의에 양보하면 자율 주행 차와 4번째 산업혁명은 인간에게 재앙이 될 것이다.단


    >


    댓글

Designed by Tistory.